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AWS
- 배포
- database
- PWA
- nginx
- axios
- login
- Firebase
- 프론트
- react-query
- extension
- express
- 로그인
- 뷰
- 플러그인
- 정리
- 토이프로젝트
- vuex
- jwt
- vue
- 신상마켓
- firebase database
- 기획
- Docker
- javascript
- vsCode
- Git
- 셋팅
- plugin
- vue login
- Today
- 57
- Total
- 178,286
강디너의 개발 일지
[도서 리뷰] 그래프QL 인 액션 본문
"한빛미디어 <나는 리뷰어다>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."
간략 소개
GraphQL의 기초부터 스키마 설계, 데이터베이스 연동, 최적화, API 연동까지 Front-end와 Back-end의 입장에서 디테일하게 설명한다.
GraphQL의 장단점, 문제점, 취약점 등을 설명해준다.
관계형 데이터베이스(PostgreSQL), 도큐먼트 지향 데이터베이스(몽고 DB) 두 가지를 이용하여 GraphQL을 다루는 방법을 소개한다.
React.js를 이용하여 서버와 연동하는 방법을 소개한다.
좋았던 점
서버 측 코드가 javascript로 되어있어서 프론트 개발자인 내가 이해하기 더 편했다.
- 예제 코드가 읽기 쉬웠다.
도커로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가 준비되어 있어서 좋았다.
- 숙련자들은 혼자 설정을 할 수 있지만, 입문자들은 DB 설치, 세팅 등을 하다 보면 기운 빠질 수 있는데 도커의 맛을 보여주어서 좋았다.
- 개인적으로 도커를 몰랐을 시절의 나는 개인 PC에 DB들을 설치하고 너무 느려져서 안 좋은 기억이 있었는데, 자기 PC에 DB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도커를 살짝이라도 알려줘서 좋았다.
이 책 한 권으로 풀스텍을 경험하는 느낌이 들었으며, GraphQL로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.
불편했던 점
책 초반에 나오는 az.dev/ ~ 가 무슨 뜻인 줄 몰랐다. 책을 보며 따라 할 때 해당 서비스에 들어갔을 때 오류 난적이 있었는데, 그 부분 때문에 조금 헤맸었다.
후기
GraphQL 관련해서 입사 과제할 때 한번 사용했었는데, 이 책을 보고 GraphQL에 이렇게 많은 기능이 있다는 것을 이제야 깨달았다. "그땐 정말 맛만 봤구나..." 생각한다.
이 책에서도 말한 "GraphQL의 장점인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일 수 있다." 라는 장점 때문에 현재 회사에서도 "GraphQL을 도입하자" 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, 이 책이 도움이 될 것 같다. 그래서 GraphQL 이용해 미리 개인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해 볼려고 한다.
조금 더 정독하면서 코딩하고 생각나는 것이 있으면 이 포스팅에 추가하려고 한다.
'회고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도서 리뷰] 찐 UXer가 알려주는 UX/UI 실무 가이드 (0) | 2022.04.21 |
---|---|
[도서 리뷰] 미국 주식으로 시작하는 슬기로운 퀀트투자 (0) | 2022.03.20 |
[도서 리뷰] 그래프QL 인 액션 (0) | 2022.02.13 |
와디즈에 이직 했습니다. (2) | 2021.11.28 |
주 ~ 니어 개발자의 2021 상반기 회고록 (3) | 2021.06.20 |
주니어 개발자의 2020년 하반기 회고록 (0) | 2020.12.20 |

- Tag
- 서평